본문 바로가기
Insight About Economy

중국 알트코인 종류별 (디파이, 게임파이, NFT)

by Dr. investor in korean 2025. 4. 9.
반응형

2025년 현재 중국의 알트코인 시장은 규제 속에서도 다각화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디파이(DeFi), 게임파이(GameFi), NFT 세 가지 핵심 분야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중국 내 개발자들은 단순한 암호화폐 거래를 넘어, 디지털 경제 시스템 전반에 응용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알트코인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디파이, 게임파이, NFT 분야에서 중국 알트코인이 어떻게 발전해왔고, 어떤 프로젝트들이 주목받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디파이 기반 중국 알트코인 현황

디파이(DeFi, 탈중앙화 금융)는 기존 금융기관을 거치지 않고, 스마트 계약을 기반으로 직접 금융 서비스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중국 정부는 디파이를 통해 일어날 수 있는 금융 통제 불능 상황을 경계해 왔고, 따라서 대중적인 디파이 서비스는 국내에서 직접적으로 제공되기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기술적 연구와 실험적인 개발은 꾸준히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기술들은 글로벌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중국 기반의 대표적인 디파이 프로젝트는 dForce, Wing Finance, 그리고 WePiggy가 있습니다.

  • dForce: 탈중앙화 금융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목표를 가진 플랫폼으로, 자산 예치, 대출, 수익 농사, 유동성 풀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합니다. Ethereum뿐만 아니라 Binance Smart Chain, Arbitrum 등 다양한 체인을 지원하며, 중국 개발자 중심 커뮤니티에서 활발한 기술 기여를 받고 있습니다.
  • Wing Finance: Ontology 기반으로 만들어진 신뢰 중심 디파이 플랫폼으로, 기존의 무담보 대출 방식이 아닌, KYC 인증을 기반으로 신용점수를 반영한 신뢰형 대출 모델을 도입하며 규제 친화적 방향을 제시합니다.
  • WePiggy: Compound나 Aave와 유사한 구조를 갖춘 대출 기반 디파이 플랫폼으로, 사용자 친화적인 UI와 다양한 디지털 자산의 예치 및 대출 기능을 제공합니다.

중국은 디파이에 대한 직접적인 사용자 접근은 차단하고 있지만, 기술과 인프라를 외국 프로젝트에 제공하거나 기술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협업에는 비교적 관대한 편입니다. 특히 Layer 2 솔루션, 크로스체인 브릿지, 오라클 기술 등은 중국 개발팀이 주도하고 있으며, 글로벌 디파이 생태계의 기술적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중국 디파이는 ‘자국 내 규제를 우회하는 비공식 모델’보다는, 글로벌 호환성과 규제 적응형 구조를 가진 형태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게임파이와 중국 블록체인 게임 프로젝트

게임파이(GameFi)는 블록체인 기술을 게임 콘텐츠에 접목시켜, 플레이어가 게임을 하면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경제 시스템입니다. 특히 젊은 층이 많은 중국에서는 이 모델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NFT와 메타버스 개념이 결합된 차세대 게임 플랫폼들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게임 콘텐츠에 대해 엄격한 심의 제도를 유지하고 있지만, 블록체인 기술이 접목된 게임에 대해서는 비교적 유연한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기술 혁신과 산업 발전을 장려하는 정책 기조에 부합하기 때문입니다.

중국의 대표적인 블록체인 게임파이 프로젝트로는 MixMarvel, PocketBuff, MetaCene, 그리고 SecondLive가 있습니다.

  • MixMarvel: Rocket Protocol을 기반으로 개발된 게임 퍼블리싱 플랫폼. 게임 개발자들이 블록체인을 쉽게 접목할 수 있도록 SDK와 다양한 툴을 제공하며, 자체 토큰 MIX를 활용해 게임 내 자산과 외부 거래소 간 연동을 실현합니다.
  • PocketBuff: 블록체인 게임 아이템 거래 플랫폼으로, NFT 기반 아이템을 실시간으로 유통시킬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했습니다. 유저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미니게임을 통한 보상 모델로 빠르게 사용자층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MetaCene: 2024년 말에 런칭된 메타버스 MMORPG 게임으로, NFT와 GameFi 요소가 통합된 복합 플랫폼입니다. 사용자는 게임 내에서 토큰을 획득하고, 이를 탈중앙화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
  • SecondLive: 3D 아바타 기반의 가상 공간 플랫폼. 유저가 콘텐츠를 만들고 NFT로 발행하거나 각종 이벤트에 참여하여 토큰을 얻는 구조로, 가상 콘서트, 전시회 등과 연계 중입니다.

중국의 게임파이는 기존 게임 개발사와 신규 블록체인 스타트업이 협업하는 방식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국가 지원을 받는 일부 프로젝트는 해외 시장을 타겟으로 글로벌 유통망을 구축 중입니다. 특히 싱가포르, 홍콩 등 인접 국가와의 공동 개발 및 서비스 론칭 사례가 늘어나면서 중국 게임파이 산업은 국경을 넘는 영향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NFT 생태계와 중국 알트코인의 활용

NFT는 대체 불가능한 고유 자산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과 진위성을 보장하는 기술입니다. 중국에서는 2021년~2022년 NFT 열풍이 불었으나, 이후 정부의 가상자산 투기 규제 강화로 인해 NFT라는 용어 자체가 제한되기 시작했고, 대신 ‘디지털 수집품’이라는 개념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NFT 기반의 플랫폼은 꾸준히 성장 중이며, 다양한 알트코인이 이 생태계의 핵심 경제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중국 NFT 프로젝트는 NFTCN, iBox, BCA Gallery, Jingtan 등이 있습니다.

  • NFTCN: 중국 최대 디지털 아트 중심 NFT 플랫폼. Alipay와 연동된 간편 결제 시스템과 예술작품 큐레이션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자체 토큰 없이 온체인 거래를 운영합니다.
  • iBox: 연예기획사들과 협업하여 아이돌, 배우 등의 굿즈를 NFT로 발행하는 플랫폼. 보상형 포인트 시스템을 도입하고 프라이빗 체인을 기반으로 규제 대응을 강화했습니다.
  • BCA Gallery: 실물 예술작품과 NFT를 결합한 전시 및 거래 플랫폼. ETH와 연동된 글로벌 거래 시스템도 지원하며, 크로스보더 전시 전략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 Jingtan: 알리바바의 Ant Group에서 운영하는 디지털 수집품 플랫폼. AntChain을 기반으로 NFT 개념 없이 디지털 자산으로 운영됩니다.

중국의 NFT 플랫폼은 대부분 퍼블릭 체인 대신 허가형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규제 이슈를 피하고 있으며, 자체 알트코인보다는 플랫폼 포인트나 내부 통화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일부 글로벌 확장형 프로젝트는 Ethereum, Polygon, BSC 등 외부 체인과 연동해 크로스보더 거래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규제 완화 시 글로벌 NFT 시장으로의 진출 발판이 될 수 있습니다.

중국의 알트코인 시장은 정부 규제라는 제약 속에서도 놀라운 속도로 진화하고 있으며, 디파이, 게임파이, NFT와 같은 분야에서 다양한 실험과 발전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각 분야는 독립적인 기술적 특성과 경제 구조를 갖고 있으며, 정부 정책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방식으로 구조화되고 있습니다. 기술 기반의 성장, 글로벌 연계 전략, 사용자 경험의 향상이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며, 앞으로의 중국 알트코인은 실생활과 산업에 연결된 현실적인 투자 자산으로 더욱 주목받게 될 것입니다. 변화하는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고, 분야별 프로젝트를 정밀 분석하여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성공적인 알트코인 투자의 첫걸음입니다.

반응형